2024년 하반기 농촌진흥청 규제혁신 대표사례
2024년 하반기 농촌진흥청 규제혁신 대표사례
자세히 보러가기보도자료
농촌진흥청, ‘양파 아주심기 기계화율 제고’ 속도 낼 것
- 이승돈 국립농업과학원장, 5일 토론회 참석해 현장 의견 청취 - 아주심기 기계화율 저조한 양파 시작으로 현장 수요 농기계 보급할 것 - 전남 나주 고추 시설 농가 방문, 한파 대설 시설하우스 현장 점검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 국립농업과학원 이승돈 원장은 2월 5일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전남 무안군)에서 열린 ‘셀 트레이 노지 육묘 활성화 토론회’에 참석해 양파 아주심기(정식) 기계화율 제고 방안을 논의했다. 이승돈 원장은 이 자리에 참석한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지자체, 농업인 단체, 농기계업체 관계자들과 기계 정식용 셀 트레이 모종(묘)을 안정적으로 대량 공급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또한, 양파 셀 트레이 노지 육묘의 국외 동향을 공유하고, 국내 활성화 방향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 원장은 “농촌 고령화와 일손 부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노동력이 많이 드는 파종, 아주심기, 수확 작업 등의 기계화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아주심기 기계화율이 낮은 양파를 시작으로 현장에서 필요한 농기계를 빠르게 보급해 우리 농촌이 직면한 일손 부족 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셀 트레이 노지 육묘는 셀 트레이에 양파 종자를 뿌린 후 발아시켜 노지에서 60~70일 정도 키우는 방식이다. 시설 육묘보다 인력과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양파 아주심기 기계화율은 22.7%로 낮아 정책목표(77.5%, 2026년)를 달성하려면, 아주심기 기계화율을 시급히 향상해야 한다. 올해 국립농업과학원은 양파‧배추 아주심기용 기계를 우선 개발하고, 앞으로 주요 8개 작물*의 생산 전 과정 기계화를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주요 8개 작물: 양파, 배추, 마늘, 감자, 무, 고추, 콩, 고구마 한편, 이 원장은 현장 토론회 참석에 앞서 전남 나주의 고추 시설 농가를 찾아 대설·한파 대비 시설 온실 현장을 점검했다.
자세히보기
공지사항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산업체 협력연구 참여기업 선정결과 알림
국립농업과학원 공고 제2025-13호 국립농업과학원 산업체 협력연구 참여기업 선정 결과 알림 『농촌진흥청 산업체 협력연구 운영규정(농촌진흥청 훈령 제1400호, 2023.10.10.)』에 따라 농촌진흥청 소속 연구기관(국립농업과학원)과 산업체가 공동으로 수행하는 협력연구 참여 대상 업체를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2025년 1월 31일 국립농업과학원장
자세히보기
채용공고
국립농업과학원 운영지원과 기간제(휴직대체인력) 채용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및 면접시험 계획 공고
국립농업과학원 공고2025-16호 국립농업과학원 운영지원과 기간제(휴직대체인력) 채용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및 면접시험 계획 공고 국립농업과학원 운영지원과 기간제근로자(휴직대체_행정실무원)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및 면접시험 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25년 2월 5일 국립농업과학원장
자세히보기
입찰공고
2024년 4분기 국유품종보호권(임시보호권)처분 공고
농촌진흥청 공고 제2024-273호 국유품종보호권(임시보호권) 처분 공고 가. 계약에 관한 사항 ○ 처분방법 : 통상실시권 허락(수의계약) ○ 실시기간 : 품종보호기간(출원기간 포함) 중 계약일로부터 7년 이내 ○ 실시범위 : 대한민국 내 종자의 생산, 판매, 증식 ○ 통상실시권 허락 대상 : 5작물(배추, 복숭아 등) 10품종(원교20053호, 진선 등) 나. 수의계약 일시 및 서류 접수처 ○ 공고일부터 계약 가능함, 농촌진흥청 기술보급과 다. 수의계약 신청자격 ○ 종자산업법 제37조제1항에 의해 계약일전 해당분야 종자업등록을 받은 자 ○ 종자산업법 제37조제3항의 규정에 의한 시․도지사, 시장․군수․구청장 또는 농업단체등도 계약할 수 있음(농업단체등의 범위는 농업협동조합법에 의한 조합 및 그 중앙회, 산림조합법에 의한 조합 및 그 중앙회임) 라. 수의계약 신청서류 ○ 수의계약신청서 1부(식물신품종 보호법 시행령 제15조에 따른 별지 제18호서식) ○ 국유품종보호권 실시에 관한 사업계획서 1부(소정양식) ○ 실시료 견적서 1부(식물신품종 보호법 시행령 제15조에 따른 별지 제16호서식) ○ 인감증명서(국유재산 매수입찰용) 1통 또는 사용인감계(인감 미사용 시) ○ 위임장 1통(대리인이 계약신청할 경우) ○ 해당분야 종자업등록증 사본(농업단체는 법인등록증 사본) 1부 * 품종보호권 실시계약에 따른 실시료는 사용자가 제시하는 수량에 따라 산출됨 마. 실시료 납부 방법 ○ 계약금액은 수의계약신청시 전액 납부 ○ 연간 평균 판매수량을 초과하여 판매하였을 경우 초과분에 대하여 해당 기본율(2%)의 경상실시료를 매년 납부 바. 기타 참고사항 ○ 계약후 분양가능한 원종량은 육성담당자에게, 사업계획서 작성요령 및 계약에 관한 사항은 기술보급과(063-238-0976, kss2486@korea.kr)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히보기
국민 여러분과 함께 소통하며 나아갑니다.
행복한 농촌,건강한 국민 농촌진흥청이 함께합니다.
안녕하십니까.
농촌진흥청장 권재한입니다.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신 여러분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대한민국의 성장과 발전에 이바지해 온 우리 농업과 농촌은 지금 변화와 혁신의 요구에 직면해 있습니다.
자세히보기